갤럭시S5가 나오기 전에 등장했던 루머 중에서 하나가 홍체인식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았습니다. 지문인식이 아닌 눈을 통해서 본인 인증을 하는 SF영화에서나 볼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 노트4에서도 슬슬 이야기가 나오고 있네요. 지문인식도 아직 완전치 않은 상황에서 홍체인식 루머가 흘러 나온다는 우려스럽기는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언론에서 갤럭시노트4에 대한 어떠한 새로운 정보를 찾기 위해서 하나의 실마리만 찾으면 내보내는 루머 추측 기사이기 때문에 별로 신뢰할 만하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흘러 나온 것은 삼성 엑시노스 트위터에 올라온 이미지 때문에 그렇습니다. 노트4에 대한 정보는 현재 아이폰6 보다 많이 없는 상태인데 그러다 보니 이런 이미지를 통해서도 노트4의 주요 기능들을 유출해 보려고..
G3를 사용해 보질 않아서 이 녀석이 좋은지 나쁜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들리는 소식에 따르면 엘지에 큰 효자 노릇을 하는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G3가 처음 나왔을때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경쟁사인 갤럭시S5, 엑스페리아 Z2에는 있는 방수 기능의 부재 였습니다. 이미 플래그십이 갖추어야 할 덕목중에 하나 였는데 그것을 탑재 하지 않았다는 것은 G3의 핸디캡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쇼케이스 현장에서 Q&A 시간에 이 부분에 관련된 질문을 할때 답변하시는 분들의 태도에서도 좀 자신감 없는 모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저 베젤리스의 멋진 디자인을 위해서 방수를 포기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방수 기능이 탑재된 G3프라임 또는 광대역 LTE-A 버전의 모델을 기다리고..
스마트폰을 사용 하면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가장 큰 불만은 뭘까요? 뭐 여러가지 부분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건 배터리 성능이 아닐까 생각 됩니다. 정말 배터리 용량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데 무조건 용량만 높이면 그 만큼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멋진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용량이 희생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정말 혁신적인 기술이 나오지 않았기에 다른 하드웨서 성능의 향상과는 다르게 배터리 부분은 늘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입니다. 애플의 아이폰6의 탑재된 배터리 용량은 이전 모델에 비해서 늘어날 거란 루머가 있는데, 용량이 늘어나는 건 당연하다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4인치에서 0.7인치가 늘어난 4.7인치 크기로 출시될 예정이기에 그에 맞는 배터리 용량의 증가는 당연한 부분입니다. ..
소니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엑스페리아 Z2가 국내에 선보인지도 한달이 안 지난 것 같은데 벌써 부터 후속 모델이 Z3의 등장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아이폰6나 갤럭시 시리즈 처럼 한참 후에 나올 모델에 대한 예고가 아니라 Z3는 곧 출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Z2는 Z1 나온지 6개월만에 나왔는데 Z3가 9월경에 나온다고 하면 Z2 출시 이후에 7개월만에 나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니는 현재 6개월에 한번씩 새 모델 출시 전략을 펼치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 엑스페리아 Z3의 스펙은 좀 기대이하라고 할 수 있습니다. 9월경에 나온다고 하면 그때 나오는 경쟁 모델들은 삼성의 갤럭시F, 갤럭시노트4, 아이폰6등이 포진하고 있습니다. 그런 모델들과 경쟁 하려면 어느정도 스펙적인 균형은 맞추어야 한다고 보는데 ..
갤럭시F또는 갤럭시 프라임에 대한 말들이 나왔을때 광대역 LTE-A를 지원하기 위해서 나오는 모델으로만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니 삼성이 갤럭시F를 만들었던 이유는 다른데 있었습니다. 그것은 애플이 만들고 있는 아이폰6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인 모델이었습니다. 갤럭시S5 광대역 LTE-A가 나왔을때 그동안 루머로 떠돌던 갤럭시F의 스펙이 아니어서 실망과 함께 그냥 루머로만 생각을 했는데 그게 아니었죠. 갤럭시F는 처음 개발이 시작될때 부터 아이폰6의 4.7인치 모델에 대응하기 위해서 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아이폰 신모델에 맞서는 모델은 갤럭시노트가 맞았는데 이번에는 그 전략을 달리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아이폰6가 하나의 모델이 아닌 두가지 모델로 출시를 하기 때문입니다. 바..
갤럭시S5의 동생이라고 할 수 있는 미니 모델이 공식적으로 선을 보였습니다. 저에게는 지금의 갤럭시S5의 5.1인치의 화면 크기 작아 보이도 성능도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크거나 또한 과도한 기능의 탑재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갤럭시S5 미니는 딱 적합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능은 줄이고 화면 크기도 줄이고 그리고 가격도 줄이고 일상적이고 심플한 스마트폰 사용패턴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폰입니다. 갤럭시S5의 동생 미니의 스펙은 어떨까? 스펙 부분에서 중요한 부분을 보면 일단 화면은 4.5인치 720P 슈퍼아몰레드 320ppi, 퀄컴 스냅드래곤 400 쿼드코어 1.4Ghz, 시스템메모리 1.5GB, 카메라 싱글 LED 플래시 8백만(후면), 21..
LTE 보다 3배 빠른 국내 '광대역 LTE-A' 시장에서 혼자 독점의 단맛을 누리고 있는 갤럭시S5 X3의 강력한 적수가 곧 등장할 것 같습니다. GSM 아네라에 올라온 기사에 보면 G3는 최근 블루투스 SIG 인증을 마치고 전쟁에 투입될 준비를 마쳤다고 합니다. 인증을 획득했다는 이야기는 이미 제품개발을 완료하고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단계로 이 정도의 움직임이라면 7월안에 출시 가능성이 무척 높아 보입니다. 현재 인증받은 모델은 LG-F460S로 국내에는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까지 이동통신 3사에서 출시가 될 예정이고 그렇게 되면 국내 시장에서 '광대역 LTE-A'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2개로 확대가 됩니다. 기존 갤럭시S5에 비해서 여러가지로 향상된 모습을 보여준 갤럭시S5 광대역 LTE..
그동안 사진으로만 보던 갤럭시S5 광대역 LTE-A를 이제 자유롭게 주물럭 거리면서 관련 이야기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작년에 이어 이번에도 운 좋게 SK텔레콤에서 진행하는 광대역 LTE-A 특공대의 대원이 되어서, 속도 측정을 위한 목적으로 가장 뜨끈 뜨끈한 갤럭시S5 광대역 LTE-A X3(SM-G906S)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제품과 관련된 특징과 정말 총알 같이 빠른 LTE 보다 3배 빠른 속도 이야기를 열심히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속도 측정 이야기를 하기 전에 아무래도 갤럭시5 LTE-A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겠죠? 그래서 가볍게 개봉기와 함께 디자인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박스 디자인은 이전 모델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할 ..
폰아레나를 읽던 중에 엘지 G3와 애플과 관련된 재미난 기사가 하나 있어서 소개를 드릴까 합니다. G3의 글로벌 판매도 이제 시작을 했는데 이런 글을 보면 그래도 여전히 평가가 좋은 듯 합니다. 글의 내용은 애플이 앞으로 나올 아이폰에서 G3의 이런 저런 특징들을 배워야 할 점에 관련된 내용인데 뭐 보면 맞는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이것이 꼭 G3에만 있는 것이 아닌 다른 스마트폰 모델에서도 적용된 기능들이라서 딱 꼬집어서 G3가 좋다라고 이야기하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애플이 무시하고 넘어가면 안되는 G3의 기능들? LG G3 features that Apple should not ignore 1. 베젤리스 디자인 G3가 처음 나왔을때 고화질 QHD와 함께 주목을 받았던 것이 바로 깔끔하고 베젤이 거의 ..
시그니처 각인 서비스로 유명한 스마트폰 베가 아이언2가 그동안 글자와 패턴에서 한단계 발전한 이미지 각인 서비스를 시작 했습니다. 베가 아이언2는 스마트폰에 각인을 할 수 있는 아주 개성적인 특징이 있는데 이런 게 가능한 것도 다 메탈 프레임을 적용했고 그런 장점을 활용한 시그니처 서비스를 하기 때문입니다. 요즘 국내에서 타투, 문신의 인기가 심상치 않은데, 저의 아이언2에도 점점 이런 저런 각인이 많아 지면서 타투폰으로의 변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패턴이나 글씨를 새겨 넣었는데 이번에는 이미지까지 지원되니 더욱 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졌습니다. 게다가 시그니처 서비스는 몇번을 해도 무료니까 원하는 것을 넣고 싶다면 계속 신청해서 이용하셔도 됩니다. (점점 늘어나는 타투 문화, 이 기사를 보면서 ..
아직 국내에 상륙하지 않은 갤럭시S5의 강화 버전인 액티브 모델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해볼까 합니다. 아직 국내 소식은 없어 보이는데 미국에서 선보인 액티브 보면 볼수록 끌려서 말이죠. 작년에 나왔던 갤럭시S4 액티브에 비해서 디자인적으로 많이 바뀌어서 국내에 선보이면 큰 사랑을 받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성능면에서 프리미엄 버전인 갤럭시S5 광대역 LTE-A가 나온 마당이라 그런지 좀 아쉬워 보이네요. 그럼 갤럭시5 와 액티브는 스펙 상으로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가볍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Galaxy S5 VS Galaxy S5 Active 화면 화면은 5.1인치 SUPER AMOLED 동일 하고 해상도나(1920x1080) 픽셀집적도 ppi(432) 모두 동일 합니다. 디자인 가장 ..
엘지를 나락에서 구원해 주고 있는 G3의 프리미엄 버전인 G3 프라임 또는 광대역 LTE 버전이 국내에서 전파인증을 통과하며 국내 출격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미 삼성에서 갤럭시S5 광대역 LTE-A 모델을 선보인 상황에서 조금만 지체 하다가는 G3가 지금 누리고 있는 호사를 잃어 버릴 수 있기 때문에 발빠르게 이에 맞설 수 있는 모델을 투입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기대했던 것 보다 빠르게 나오는 것을 보니 엘지가 요즘 체질이 많이 변하긴 변한 것 같습니다. (발빠른 움직임 박수를 보내주고 싶네요) G3 광대역 LTE-A 출격 완료 현재 예상되는 G3 프라임 또는 광대역 LTE-A 모델의 모습은 큰 변화는 예상되지 않습니다. 일단 알려진 것은 프로세서, AP의 변경입니다. 아마도 이 부분이 가장 큰 변화라..
하반기 가장 기대가 되는 제품중에 하나인 갤럭시노트4에 들어갈 AP는 현재 스냅드래곤 805와 엑시노스 5433 탑재가 유력시 되고 있습니다. 어제 올린 포스팅에서 벤치마킹 프로그램인 안투투를 통해서 2개 AP가 탑재한 자료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현재 스냅 805는 미국에 출시 되는 버전으로, 엑시노스 5433은 그외 지역에 탑재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국에 출시되는 제품에도 그동안의 상황을 보면 805가 유력시 됩니다. 소비자야 두개의 제품중에서 성능 좋은 AP가 탑재 되는게 장땡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안투투에서 두 제품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결과는 일단 삼성 엑시노스 5433이 스냅드래곤 805를 더 앞서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표를 보면 테그라 K1에 위치한 5433이 805의..
궁긍해 하는 갤럭시노트4에 대한 스펙이 벤치마크 앱인 안투투를 통해서 유출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루머로 돌던 스펙에 비해서는 훨씬 믿을만하는 내용이기에 어느정도 노트4의 스펙을 예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투투 벤치마킹에 나와 있는 내용을 보면 현재 2가지 AP를 적용한 모델을 테스트중에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갤럭시S5 광대역 LTE-A에도 적용된 스냅드래곤 805와 삼성 자체 AP인 엑시노스 5433 입니다. 스냅 805 or 엑시노스 5433 805 같은 경우는 krait 450, 2.5Ghz, Ardeno 420 이고 엑시노스 5433은 코텍스 A5X 기반의 64비트 1.3Ghz, Mali T760이 적용이 되었습니다. 두 모델 모두 광대역 LTE-A 를 지원하는 카테고리 ..
갤럭시S5 출시 이후에 계속적으로 흘러 나오던 프리미엄 버전인 갤럭시F(갤럭시5프라임)의 이야기가 갤럭시s5 광대역 LTE-A 버전이 출시 되면서 그대로 끝나는가 했는데 아직 그 루머를 끝내기에는 아직 이른 듯 싶습니다. 아직도 갤럭시F의 이야기는 해외 외신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흘러 나오고 있고 올 하반기 데뷔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아이폰6가 나오는 시점에 등장해서 애플의 파티를 망칠 생각인 것 같네요. 아이폰6 같은 경우는 5.5인치와 4.7인치 두가지 버전을 계획하고 있기에 4.7인치는 갤럭시F로 막고, 5.5인치는 5.7인치 갤럭시노트4로 대응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칠 것 같습니다. (유출된 갤럭시S5 프라임 골드 이미지. 출처: evleaks) 갤럭시F가 가지는 여전한 매력 갤럭시S5 LTe..
아이폰 3GS를 사용하고 나서 아이패드1 을 구입하고 나서 한동안 태블릿이 주는 매력에 흠뻑 빠져 살아간 적이 있습니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면서 태블릿 보다는 스마트폰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대형 화면을 가진 페블릿폰이라 불리는 갤럭시노트가 등장 하면서 태블릿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줄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동안 다양한 태블릿들이 선을 보였고 성능적인 부분에서 많은 향상이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런 저런 태블릿 제품을 사용해 보았지만 역시 진리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애플에서 선보인 아이패드 시리즈 입니다. 큰 관심을 두지 않는 동안 아이패드 미니, 아이패드 에어등 다양한 제품들이 선을 보여서 선택의 폭은 예전에 비해서 많이 넓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태블릿 시장은 아이패드를 가진 애플이 ..
지금 시중에 나와 있는 최신 폰을 살펴 보면 19일 나온 S5 광대역 LTE-A 모델은 빼고 대략 G3,갤럭시S5,아이언2 이렇게 3개의 모델을 주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나와 있는 폰들이 각 브랜드가 내세우는 프리미엄 모델이다 보니 소비자들이 느끼는 혼란이 있습니다. 특히나 어제 19일 SK텔레콤에서 전세계 최초로 서비스를 시작하는 광대역 LTE-A 때문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베가 아이언2) (엘지 G3) (갤럭시S5) 그동안 선보였던 서비스명이 순서대로 LTE, LTE-A, 광대역 LTE, 광대역 LTE-A 이러다 보니 그게 그거 갔고 저게 저거 같은 무척 햇갈리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각 서비스마다 지원하는 모델이 다르다 보니 내가 가지고 있는 모델이 어떤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알기도 어렵습니다. ..
2014년 중반기 가장 뜨거운 스마트폰 중에 하나인 갤럭시S5 프리미엄(?)모델인 광대역 LTE-A 버전이 19일 드디어 국내에 선을 보였습니다. 이 모델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판매를 하는 제품이라 해외 소비자들은 이런 부분에 대해서 불만을 쏟아내고 있기도 합니다. 이런 거 보면 한국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어깨에 힘이 살짝 들어가기도 합니다. ^^ 그동안 블로그를 통해서 이 모델이 등장 하기까지 엘지 G3와 갤럭시S5 모델의 구입을 기다리라고 했는데 이제 공개가 된 시점이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S5 광대역 LTE VS G3, 다른 점은 뭘까 디스플레이: QHD VS QHD 그동안 G3가 S5에 비해서 가지고 있었던 최고 우위는 화면이..
그동안 말도 많았고 수 많은 루머를 양산 시켰던 갤럭시S5 프라임 또는 갤럭시F가 드디어 베일을 벗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SK텔레콤에서 오늘부터 시작되는 광대역 LTE-A 지원 첫 단말기의 이름은 별다를 것 없이 그저 갤럭시S5 광대역 LTE-A 입니다. 그동안 별 설레발 치면서 언론에서 다루던 순간들이 주마등 처럼 흘러 갑니다. 좀 멋진 이름을 기대 했는데 그저 이해하기 쉬운 본능적이고 쉬운 이름으로 했네요. 아마도 올 하반기에 또 하나의 프리미엄폰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으니 멋진 이름은 그때 기대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동안 프리미엄폰으로 나올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아서 기대가 컸는데 그동안의 루머와 비교했을때 뭐는 맞고 틀린 지, 갤럭시S5와 비교했을때 뭐가 달라졌는지 한번 확인하는 시간을 가지도..
요즘 나오는 엘지 G3에 대한 이야기는 온통 긍정적인 이갸기뿐입니다. 그동안 엘지가 모바일 분야에서 애플과 삼성에 눌려 오랜시간 어두운 시간을 보내고 그런지 언론도 그렇고 전반적인 반응들이 호평일색입니다. 심지어 연일 G3로 인한 주가 상승에 대한 기사도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저도 출시날 쇼케이스 현장에서 G3를 직접 만나 보긴 했지만 짧은 시간 접해본 거라 제대로 된 평가를 내리기는 어려웠습니다. 단지 공개된 스펙이나 작동 되는 모습을 보면서 평가를 내리는 것이 전부 였습니다. 그래서 이미 많이 나와 있는 G3의 장점이 아닌 단점에 대한 내용이 좀 궁금했습니다. 그런중에 유명 모바일 사이트 폰아레나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왔기에 한번 소개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G G3의 5가지 단점은 뭘까?..